virtual machine 3

Azure Private Subnet에 명시적으로 아웃바운드 연결하기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테스트 글까지 하루에 적을 수 있을까 했는데 무사히 작성을 완료하였습니다. 👏🏻👏🏻👏🏻 Azure Private Subnet을 배포하고 NAT Gateway를 통해 아웃바운드 연결을 명시해 주는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는데요. 관련된 개념 정리 글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https://with-cloud.tistory.com/43 Azure Private Subnet과 Azure NAT Gateway란?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오늘은 Azure Private Subnet과 Azure NAT Gatewa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zure Private Subnet이 Public Preview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기존의 subnet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

TOPIC/Cloud 2024.04.23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2)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지난 글에 이어서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하는 테스트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 : https://with-cloud.tistory.com/25)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미뤄두고 미뤄뒀던 Kubernetes Cluster on Virtual Machine 구성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 VMWare로 한번, Azure Virtual Machine으로 한 번, 총 두 번 테스트를 했던 적이 있 with-cloud.tistory.com Contents 3. Control Plane 구성 3.1 kubeadm init Kuber..

TOPIC/Infra 2024.03.11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미뤄두고 미뤄뒀던 Kubernetes Cluster on Virtual Machine 구성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 VMWare로 한번, Azure Virtual Machine으로 한 번, 총 두 번 테스트를 했던 적이 있어 우선 순위에서 밀렸던 것도 사실이긴합니다. 🥹 하지만 반복하지 않으면 까먹기 때문에 여유가 생긴 지금! 테스트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Contents 1. Virtual Machine 배포 Azure 환경에 [가상 머신]을 세 대 배포하여, 1대는 control plane, 2대는 node로 사용합니다. 1.1 Virtual Machine 배포 1.1.1 [리소스 그룹] 생성 구독 : # 사용할 구독 선택 리소스 그룹 : rg-k8s-..

TOPIC/Infra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