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38

[MSSQL Server Always ON 가용성 그룹 구성 on Azure VMs] #01 용어 정리 및 구성도 공유 그리고 AD 구축

안녕하세요. TAK 입니다:) 🌱봄이 부쩍 가까워진 3월에 다시 인사드립니다(^꾸_벅^)🌱 회사 업무로 Azure VM 기반 MSSQL FCI 구성한 적이 있는데.. 이후에 Always ON 가용성 그룹 구성이 자꾸 아른?..거려서 작성하게 되었다는 그런 이상한 출발점으로 이번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그럼 "Azure 인프라 내에서 MSSQL과 Failover를 위한 Always ON 가용성 그룹 구성"에 대해 찐~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찐~한만큼 구성의 단계별로 나눠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설정에 따라 구성이 많이 달라질 수 있는 점 참고해 주세요.) 자, 그럼 본격으로 1부 시작하겠습니다! "실제 테스트 구축 전, 우리가 함께 구성할 서비스에 대한 개념 정리 먼저 해보겠습니다." Contents 1...

TOPIC/DB 2024.03.18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2)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지난 글에 이어서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하는 테스트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 : https://with-cloud.tistory.com/25)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미뤄두고 미뤄뒀던 Kubernetes Cluster on Virtual Machine 구성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 VMWare로 한번, Azure Virtual Machine으로 한 번, 총 두 번 테스트를 했던 적이 있 with-cloud.tistory.com Contents 3. Control Plane 구성 3.1 kubeadm init Kuber..

TOPIC/Infra 2024.03.11

Virtual Machine으로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미뤄두고 미뤄뒀던 Kubernetes Cluster on Virtual Machine 구성 테스트를 완료하였습니다. 🎉🎉 VMWare로 한번, Azure Virtual Machine으로 한 번, 총 두 번 테스트를 했던 적이 있어 우선 순위에서 밀렸던 것도 사실이긴합니다. 🥹 하지만 반복하지 않으면 까먹기 때문에 여유가 생긴 지금! 테스트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Contents 1. Virtual Machine 배포 Azure 환경에 [가상 머신]을 세 대 배포하여, 1대는 control plane, 2대는 node로 사용합니다. 1.1 Virtual Machine 배포 1.1.1 [리소스 그룹] 생성 구독 : # 사용할 구독 선택 리소스 그룹 : rg-k8s-..

TOPIC/Infra 2024.03.07

2부 : Prometheus(+ Node Exporter, AlertManager) + Grafana 구성하기

안녕하세요. TAK 입니다:) 지난 1부에 이어서 2부 "Grafana 대시보드화 구성과 AlertManager 를 통한 알림 서비스 연동" 으로 돌아왔습니다! 1부와 이어지는 내용이기에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 후에, 이번 포스팅을 팔로우 하시면 이해하는 데 편하실거에요:) 1부 : Prometheus(+ Node Exporter, AlertManager) + Grafana 구성하기 안녕하세요. TAK 입니다:) 요번 Monitoring & Alert 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Prometheus(+ Node Exporter) + Grafana" 주제를 준비했습니다! (별도의 Category 를 만들까 했지만, 제가 처음으로 포스팅한 내용처럼 조 with-cloud.tistory.com 그럼 시작하겠습니..

TOPIC/Data 2024.02.20

1부 : Prometheus(+ Node Exporter, AlertManager) + Grafana 구성하기

안녕하세요. TAK 입니다:)  요번 Monitoring & Alert 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Prometheus(+ Node Exporter) + Grafana" 주제를 준비했습니다!(별도의 Category 를 만들까 했지만, 제가 처음으로 포스팅한 내용처럼 조금 더 포괄적인 영역인 DATA 분야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전달을 위해 1부 & 2부로 나눠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1부에서는 개념과 테스트 환경의 설명, Prometheus 및 Node Exporter 설치와 구성2부에서는 Grafana 대시보드화 구성과 AlertManager 를 통한 알림 서비스 연동  자, 그럼 본격으로 1부 시작하겠습니다!Contents1-1. Prometheus 란?: Promethus 란, 시스템..

TOPIC/Data 2024.02.15

Jenkins, ArgoCD로 CI/CD Pipeline 구성하기 (3)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Jenkins에서 Jenkinsfile을 사용하여 Job을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지난 글 바로 가기 : https://with-cloud.tistory.com/20 Jenkins, ArgoCD로 CI/CD Pipeline 구성하기 (2)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CI/CD Pipeline에 대한 전체 Flow와 Pipeline을 구성하기 전에 필요한 설정들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지난 글 바로 가기 : https://with-cloud.tistory.com/19. Jenkins, ArgoCD with-cloud.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CI/CD Pipeline 구성의 마지막 부분인 Github와 ArgoCD 간 연결..

TOPIC/DevOps 2024.02.05

Jenkins, ArgoCD로 CI/CD Pipeline 구성하기 (2)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CI/CD Pipeline에 대한 전체 Flow와 Pipeline을 구성하기 전에 필요한 설정들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지난 글 바로 가기 : https://with-cloud.tistory.com/19. Jenkins, ArgoCD로 CI/CD Pipeline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길고 길었던 CI/CD Pipeline 구성이 끝이 났습니다. 🥳🥳 개인적으로, CI/CD Pipeline은 구성할 때마다 어렵다 😟 이거 언제 다 연결하지? 라는 마음이 드는데요. 막상 with-cloud.tistory.com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Jenkinsfile을 사용하여 Jenkins 내에서 Job을 생성하고 테스트 하는 과정에 대..

TOPIC/DevOps 2024.02.01

Jenkins, ArgoCD로 CI/CD Pipeline 구성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드디어 길고 길었던 CI/CD Pipeline 구성이 끝이 났습니다. 🥳🥳 개인적으로, CI/CD Pipeline은 구성할 때마다 어렵다 😟 이거 언제 다 연결하지? 라는 마음이 드는데요. 막상 구성해 놓고 보면 자동으로 척척 빌드되고 배포되는 게 멋있고 뿌듯하더라구요. 하지만 할 때마다 어려워 할 수는 없으니! 이번 기회에 쭈욱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Contents ※ Jenkins와 ArgoCD 등 CI/CD Pipeline 구성에 필요한 모든 리소스는 사전에 배포해 두었습니다.※ 1. CI/CD Flow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한 후 'Toy-Project-Web' Repository에 변경 사항을 push합니다. (Toy-Project-Web이라는 GitHub Repos..

TOPIC/DevOps 2024.01.31

Kubernetes Network Policy 공부하기 (2)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이전 글에서 Network Policy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실제로 Network Policy에 대해 테스트한 내용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Network Policy에 대한 이론을 정리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s://with-cloud.tistory.com/17 Contents 1. Namespace 생성 및 Label 지정 테스트에 사용할 namespace를 생성합니다. kubectl create ns ns-01 kubectl create ns ns-02 생성된 namespace 확인하기 위해 하기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kubectl get ns | awk ‘NR==1 || /ns-/' ← 이 명령어는 첫 번째 행 또는 ns-라..

TOPIC/Infra 2024.01.12

Kubernetes Network Policy 공부하기 (1)

안녕하세요. HYEN입니다. 이번에는 Kubernetes Network Policy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습니다. 먼저 이론적으로 Network Policy에 대해서 알아본 후 다음 글에서 실제 테스트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Contents 1. Network Policy란? Kubernetes Cluster 내부에서 pod 간 통신 시 트래픽 규칙을 규정하는 역할을 하는 object입니다. 기본적으로 Network Policy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Kubernetes Cluster 내부의 모든 pod는 서로 통신 가능하지만 Network Policy 사용 시 pod 간 통신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Kubernetes Cluster가 Network Policy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플러그인(CN..

TOPIC/Infra 2024.01.10